✅ STUDY(56)
-
[aws] EBS 볼륨 생성/자동 마운트/크기 확장
안녕하세요! 오늘은 실제로 EBS 볼륨 생성, Linux2 가상머신에 EBS를 마운트하고, EBS 볼륨의 크기를 확장해보겠습니다. 🙋♀️먼저, EBS가 무엇일까요? EBS(Elastic Block Store) ❓ 정의 EC2 인스턴스를 위한 사용자 지정 가능한 영구 블록 스토리지(하드디스크 라고 생각하면 쉬움!) 특징 HDD와 SDD 유형 중에서 선택가능 동일한 가용 영역에서 실행중인 여러 서버에 자동으로 복제됨 특정 지점 스냅샷을 사용하여 백업가능해서 보다 높은 수준의 데이터 내구성을 제공함 쉽고 투명한 암호화 지원 탄력적 볼륨, 다른 유형으로 변경 가능, 용량 확장 가능 용량 scale down은 불가능 -> 이를 위해서는 더 작은 크기의 새로운 EBS장치를 생성해, mount를 다시 해주어야함 E..
2021.02.11 -
[aws] Linux2 OS 기본 설정 - 사용자 계정 추가 및 root 권한 부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실제로 Linux2 가상머신의 사용자 계정을 추가, root권한 부여, 비밀번호 설정,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을 하겠습니다. Linux2 OS - EC2 접속 먼저, Linux2 OS가 설치된 가상머신에 접속하겠습니다. Linux2 OS - 사용자 계정 추가 사용자계정을 설정하기 위해서도 sudo 권한이 필요합니다. 명령어 앞에 sudo를 붙여 사용자 계정을 추가해보겠습니다. * useradd {사용자계정 이름} : 사용자계정 추가 Linux2 OS - 만든 사용자 계정에 root권한 부여 방금 추가한 사용자계정에게 root 권한을 부여하겠습니다. /etc/sudoers 파일에서 사용자계정의 권한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파일의 기본 퍼미션이 440이기 때문에, 쓰기 권한..
2021.02.10 -
[aws] Linux2 OS 기본 설정 - 서울 시간대 설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실제로 Linux2 가상머신의 시간대를 서울로 설정하겠습니다. Linux2 OS - EC2 접속 먼저, Linux2 OS가 설치된 가상머신에 접속하겠습니다. Linux2 OS - 서울 시간대 확인 및 변경 EC2에 접속하면 항상 기본 시간대는 UTC 시간대로 설정되어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서울로 변경해줘야겠죠? 시간대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sudo 권한이 필요합니다. 명령어 앞에 sudo를 붙여 시간대를 설정해보겠습니다. * date : 현재 설정된 시간대 확인 *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 서울 시간대로 변경하는 명령어 이렇게 해서, 서울 시간대 설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다음에 만나요 〰 안녕 😜
2021.02.10 -
[aws] Linux2 OS 기본 설정 - hostname 확인 및 변경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1/02/02 - [✅ STUDY/AWS] - [aws] MobaXterm을 이용한 EC2 인스턴스 접속에 이어, 오늘은 실제로 Linux2 가상머신의 hostname 확인하고 변경하겠습니다. 🙋♀️먼저, hostname이 무엇일까요? hostname ❓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 및 컴퓨터들을 구분하기 위한 이름 특히 인터넷에서는 월드 와이드 웹, 전자 우편, 유즈넷 등에서 호스트명을 흔히 사용하며, 도메인 이름과 유사하지만 엄밀하게는 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음 호스트명은 보통 사람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이름으로 지어지며, 흔히 IP주소나 MAC주소와 같은 기계적인 이름 대신 쓸 수 있음 호스트명은 NIS, DNS, SMB 등의 여러 체계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따라서..
2021.02.10 -
[aws] MobaXterm을 이용한 EC2 인스턴스 연결(Linux2, Windows)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1/01/31 - [✅ STUDY/AWS] - [aws] EC2 Public instance(EIP) 생성 및 연결에 이어, 오늘은 실제로 Linux OS 인스턴스와 Windows 인스턴스에 접속해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이전에 구축한 클라우드 아키텍쳐입니다. 해당 public subnet 안에 EC2 인스턴스에 각각 접속해보겠습니다. 최대한 쉽게 사진과 함께 가져왔으니 천천히 따라와주세요 :) 🙋♀️먼저, MobaXterm은 설치하셨나요? 설치하지 않으셨다면, 아래 글을 통해 설치를 먼저 진행하고 따라와주시길 바랍니다. [aws] SSH 클라이언트 - Windows에서 MobaXterm 설치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1/01/31 - [✅ STUDY/AWS] - [aws] E..
2021.02.02 -
[aws] SSH 클라이언트 - Windows에서 MobaXterm 설치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1/01/31 - [✅ STUDY/AWS] - [aws] EC2 Public instance(EIP) 생성 및 연결에 이어, 실제 EC2 가상머신에 접속해볼 차례인데요. 그 전에, 가상머신에 어떻게 접속을 할까요? 멀리 떨어진 원격 시스템에 어떻게 접속을 하면 좋을까요? 바로, SSH를 이용해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먼저, SSH를 알고 계시나요? SSH(Secure Shell) ❓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는 Putty, FileZilla, MobaXterm, Git bash 등이 있다.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
2021.02.01